과민성 방광은 소변을 참는 습관을 들임으로써 어느 정도 개선이 가능하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요의(尿意·오줌이 마려운 느낌)가 과도하게 잦은 사람들이 있다.
일부는 참지 못하고 소변을 지린다.
이런 증상은 '과민성 방광'에 의해 주로 발생한다.
과민성 방광은 국내 성인 약 12.2%가 겪을 정도로 의외로 흔하다.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지만, 몇 가지 생활수칙만 시켜도 크게 완화할 수 있다.
방광은 소변을 저장하고 배출하는 근육 주머니다.
건강한 성인은 방광에 최대 400~ 500㏄의 소변을 저장한다.
보통 150㏄의 소변이 차면 마려운 느낌이 들고, 200~300㏄가 되면 반드시 화장실을 가야 하는데, 과민성
방광인 사람은 그 절반(50~100㏄)만 돼도 참지 못한다.
과민성 방광은 신경계 질환(파킨슨병·뇌졸중 등)에 의해 배뇨를 담당하는 신경에 이상이 생긴 경우를 제외하고,
'노화(老化)'가 가장 큰 원인이다.
나이가 들면, 소변 배출신호를 전달하는 배뇨신경과 방광 근육의 기능이 약해기 때문에 65세 이상이 되면
과민성 방광을 앓고 있는 사람의 비율이 20% 이상으로 높아진다.
30대 이하 젊은층의 과민성 방광은 스트레스·우울증 같은 정신적 문제가 주요 원인이다.
젊은층 환자는 근육이나 신경 이상이 원인인 경우가 거의 없다.
스트레스가 뇌의 배뇨 중추에 안 좋은 영향을 미쳐 방광이 비정상적으로 예민해지고, 이 때문에 소변이 조금만
차도 요의를 느끼게 된다.
증상이 심하지 않은 과민성 방광은 몇 가지 생활수칙만 지켜도 치료가 된다.
과민성 방광을 개선하는'생활수칙 5가지'를 소개한다.
▷카페인·알코올 제한=
카페인과 알코올은 방광을 자극해서 소변량이 많지 않은데도 배출 신호를 보낸다.
탄산음료나 매운 음식 섭취를 줄이는 것도 도움이 된다.
▷물은 적정량 섭취=
물을 많이 마셔 소변을 보러 자주 가면, 이후에는 물을 조금만 마셔도 소변을 자주 보는 배뇨 습관이 생긴다.
반대로, 물을 너무 적게 마시면 소변이 방광 내에서 심하게 농축돼 방광을 자극할 수 있다.
물 섭취량은 하루 1000㎖ 이상 2400㎖ 이하가 적절하다.
▷정상 체중 유지=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경우, 체중이 방광에 압력을 줘 방광에 소변이 충분히 차지 않아도 요의가 생길 수 있다.
▷소변 참기=
평소 소변을 보는 시간을 체크한 후, 그 간격을 30분씩 늘린다.
소변 횟수를 하루 7회 이내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필요 없이 자주 소변을 보는 배뇨습관을 고칠 수 있다.
과민성 방광이 없는 사람은 소변을 참으면 방광염 등이 생길 수 있다.
▷골반근육 운동=
방광근육의 조절력이 높아져 소변을 참는 힘을 기를 수 있다.
위를 보고 누운 상태에서 엉덩이를 들어올리는 동작을 하면 된다.
과민성 방광은 약물이나 보톡스로 치료할 수 있다.
약은 주로 방광을 수축시키는 신경전달물질(아세틸콜린)의 작용을 막는 '항무스카린제'를 쓴다.
3~6개월 정도 꾸준히 복용해야 하는데, 20~50%의 환자는 큰 효과를 못본다.
이때는 보톡스 치료를 받아볼 수 있다.
보톡스로 방광 근육을 마비시켜 요의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화를 늦추는 정말 쉬운 방법 한발 서기 (0) | 2022.01.11 |
---|---|
콩국수가 인체에 미치는 변화 (0) | 2022.01.11 |
Covid 19(코로나 바이러스19)관련 (0) | 2021.12.19 |
건강에 좋은 우엉차 (0) | 2021.12.16 |
시간만나면 걸으세요 (0) | 2021.1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