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여기서 "벼리"는 ‘그물에 있어서 근본이 되는 굵은 줄을 말하는 것인데, 현대적 의미로 해석하면 ‘법도(法度)’라고 풀이하거나, 책임자 등의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오륜은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을 의미한다.
2. 유래[편집]
하지만, 이 개념이 정확히 어디서 시작되었는가에는 의견이 분분하다. 제자백가시절, 공자가 만들었다는 설이 있는가 하면, 한나라 대에 들어와서 만들어졌다는 설이 있다.
다만 확실한 것이 있는데, 인간의 기본 도덕을 설명하는 오륜은 큰 변화가 없는 것에 비해, 삼강은 시대마다 문자 자체나, 해석이 조금씩 달라졌다.
예)
다만 확실한 것이 있는데, 인간의 기본 도덕을 설명하는 오륜은 큰 변화가 없는 것에 비해, 삼강은 시대마다 문자 자체나, 해석이 조금씩 달라졌다.
예)
-
부위자강(父爲子綱): 아들은 아버지를 섬기는 것이 근본이고,
-
군위신강(君爲臣綱): 신하는 임금을 섬기는 것이 근본이고,
-
부위부강(夫爲婦綱): 아내는 남편을 섬기는 것이 근본이다.
즉, 그 당시 도덕의 기준(권력자의 입맛이라 볼 수도 있다.)에 맞게 '강령'으로 바꿨다는 것.
3. 현대 사회에서의 비판[편집]
유가윤리로 통용되는 삼강오륜은 한대의 중앙집권제에 이용되면서 변질된 종적 복종윤리로서, 본래 유가의 윤리에서 크게 벗어나고 말았다는 견해가 이것이다. 정치적으로는 왕도주의, 사회적으로는 삼강오륜 사상을 토대로 하며 사대부 계층에 의한 유교적 가부장주의와 봉건적 전제군주 통치체제를 정당화하는 이데올로기로 정립되고 말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삼강오륜에 의한 상하 남녀 사이의 지나친 차별과 구속으로 유교의 자유와 평등을 간과하게 되었다는 비판이 일기도 했다.
원불교대사전, 원불교100년기념성업회
간단히 정리하면 성 평등, 개인존중 등의 현대사회에서 필수로 여겨지는 사상과 차별을 당연시 하는 전통적인 근거로 주로 사용되는 삼강오륜의 논리는 물과 기름처럼 섞일 수 없기에 정면으로 충돌한다. 특히 어떤 덕목은 상명하복이 연상될 수 있기에, 현대 개인주의 또는 정치적 올바름과 맞지 않는다. 게다가 나이와 기수로 상하관계 따지기 좋아하는 기성세대, 기득권층은 자신들의 사회적 계급을 정당화 하기위해 삼강오륜을 자의적으로 왜곡 해석하는 경향도 있다. 흔히 "너는 위 아래도 없냐"는 식으로 봉건성을 대변하는 이들의 입장은 민주주의와, 인권, 자유와 평등에 대한 명백한 도전이지만, 전통적인 덕목이란 명목은 독재정권 시절에 권위에 대한 일종의 복종교육 수단으로 더할 나위 없는 것이었다. 이후 급격한 민주화가 이루어 졌다고는 하나, 21세기 한국이 서구수준으로 인간적인 차별없는 사회라고 쳐주기엔 어렵다. 독재시절과 민주화를 거친 그간 세대간의 교육 차이는 각종 집회에서 세대 간 갈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 대한민국이 민주화를 거쳤다고 하지만 군사정권 시절과 별다를 바 없는 위계적인 직장문화와 어느덧 기득권이 된 86세대가 직장에서 대한민국의 미투 운동과 갑질로 고발당하고 있는 현실은 민주화를 이끈 세대조차 삼강오륜을 차별 정당화 근거로 써먹었다는 비판으로 이어진다. 이는 보수진영에서 "상명하복은 어느 조직이든 등장할 수밖에 없는 권력의 본성"이라는 비아냥의 근거가 되기도 한다.
간혹 이걸로 한두살 차이의 연령차별을 정당화하는 경우가 있는데 애초에 조선시대에도 한두살 차이는 물론 너댓살 차이도 그냥 또래 개념으로 친구처럼 지냈다.[1] 따라서 유교에서의 장유유서의 개념은 또래끼리가 아닌 정말 웃어른에게 지켜야할 예절이었던 것. 이걸 나누는 문화는 일제강점기에 들어온 문화이다. 즉, 유교와는 전혀 관련 없는 신종 문화이다.
간혹 이걸로 한두살 차이의 연령차별을 정당화하는 경우가 있는데 애초에 조선시대에도 한두살 차이는 물론 너댓살 차이도 그냥 또래 개념으로 친구처럼 지냈다.[1] 따라서 유교에서의 장유유서의 개념은 또래끼리가 아닌 정말 웃어른에게 지켜야할 예절이었던 것. 이걸 나누는 문화는 일제강점기에 들어온 문화이다. 즉, 유교와는 전혀 관련 없는 신종 문화이다.
원래 도리가 땅에 떨어져 권위를 잃은 시대일 수록 도덕을 더 찾는 경향이 있다. 이런 현상은 임란 이후 더 심각해진다.
그 예로 조선의 임금이었던 선조는 임란이 터지자 임금의 도리를 저버리고 일부 신하만 거느린채 도망갔다. 그로인해 선조의 권위는 떨어졌고 그에 대한 자격지심의 발로로 무수한 실책과 질투를 반복했다. 또 신하들에게 충성심 테스트를 하며 충성을 강요했다.
양반층 및 남녀 관계에서도 선조 사례와 비슷하다. 민중을 이끌어야 할 양반층의 대부분은 혼자 살기에도 벅찬 시기였고, 남자들이 왜군에 속수무책으로 쓰러지는 꼴을 보이게 됨으로써, 남자가 여자보다 낫다는 인식이 무너지게 된다. 이런 현실에서 난이 평정된 이후 다시 사회를 다 잡기 위해서는 보다 강력한 규범이 요구된 것이다. 그 결과 임란 이후 과거시험이 변질되어 계급구조가 더욱 고착화되었다. 또한 삼강오륜을 더욱 강조하며 여기에 7거지악이 더 추가되어 여자에 대한 제약이 더욱 심해지게 된 것이다. 이는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그 예로 조선의 임금이었던 선조는 임란이 터지자 임금의 도리를 저버리고 일부 신하만 거느린채 도망갔다. 그로인해 선조의 권위는 떨어졌고 그에 대한 자격지심의 발로로 무수한 실책과 질투를 반복했다. 또 신하들에게 충성심 테스트를 하며 충성을 강요했다.
양반층 및 남녀 관계에서도 선조 사례와 비슷하다. 민중을 이끌어야 할 양반층의 대부분은 혼자 살기에도 벅찬 시기였고, 남자들이 왜군에 속수무책으로 쓰러지는 꼴을 보이게 됨으로써, 남자가 여자보다 낫다는 인식이 무너지게 된다. 이런 현실에서 난이 평정된 이후 다시 사회를 다 잡기 위해서는 보다 강력한 규범이 요구된 것이다. 그 결과 임란 이후 과거시험이 변질되어 계급구조가 더욱 고착화되었다. 또한 삼강오륜을 더욱 강조하며 여기에 7거지악이 더 추가되어 여자에 대한 제약이 더욱 심해지게 된 것이다. 이는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출처: 나무위키
'좋은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의 됨됨이란... (0) | 2021.12.19 |
---|---|
속터진 만두 이야기 (0) | 2021.12.09 |
朱子十悔 (0) | 2021.12.09 |
좋은글 같이 나누어요^^ (0) | 2021.11.29 |
살아있기에 누릴수있는 행복 (0) | 2021.09.06 |
댓글